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워터 펌프
냉각계통
엔진은 내부에서 끊임없이 폭발이 일어나기 때문에 항상 열이 발생한다. 그러나 엔진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윤활유의 성질이 변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여러 부품이 망가지는 원인이 된다. 이를 막아 정상작동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엔진을 식히는 구성요소를 통틀어 냉각계통이라고 한다. 냉각계통은 수랭식 엔진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공기로 엔진을 식히는 공랭식 엔진에서는 냉각핀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냉각수•coolant
엔진의 열을 식히기 위해 실린더 주변을 도는 액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에 부동액, 방청제 등을 혼합해 쓴다. 부동액은 물의 어는점을 떨어뜨리는 액체로, 기온이 낮을 때 냉각수가 얼어붙는 것을 막는다. 방청제는 냉각계통 내부에 녹이 슬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고 일반적으로 부동액에 섞여 있다. 지하수는 지하수에 들어 있는 각종 금속 및 미네랄 성분이 냉각계통에 엉겨 붙거나 녹이 스는 것을 돕기 때문에 냉각수로는 적당하지 않다.
워터 재킷•water jacket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빈 공간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실린더 내벽과 밸브 주변, 연소실 등 엔진의 주요 부분을 물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워터 재킷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반적으로 워터 재킷 안에서 냉각수는 엔진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흐른다.
워터 펌프•water pump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데 쓰이는 펌프. 엔진 내부를 거쳐 뜨거워진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보내고, 라디에이터를 거쳐 식은 냉각수를 다시 엔진 내부로 집어넣는 역할을 한다.
서모스탯•thermostat
냉각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밸브를 말한다. 엔진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야 여러 부품들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데, 온도의 유지는 서모스탯이 냉각수의 흐름을 조절해 이루어진다. 서모스탯이 냉각수의 흐름을 막으면 엔진의 열기가 냉각수에 비축되어 냉각수와 엔진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때 서모스탯이 냉각수를 다시 흐르게 하면 냉각수가 라디에이터를 거쳐 식으면서 엔진의 온도가 낮아진다.
라디에이터•radiator
방열기(放熱器)라고도 하는 일종의 열 교환기로, 열을 잘 전달하는 소재로 만들어진 금속판(방열판)을 공기와 잘 접촉할 수 있도록 겹쳐 배치하고, 이 방열판을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에 단 것이다. 뜨거운 냉각수가 가진 열은 방열판으로 전달되고, 방열판이 공기와 접촉해 열을 발산시키며 냉각수의 열을 빼앗아 식힌다. 라디에이터는 작고 가벼우며 발열특성이 좋아야 한다. 예전에는 구리나 황동을 주로 썼지만 요즘에는 가벼운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된다.
냉각 팬•cooling fan
라디에이터가 냉각수를 식히는 것을 돕기 위해 방열판으로 공기를 끌어들이는 장치다. 차가 고속으로 달릴 때에는 자연적인 바람에 의해서도 충분히 냉각이 이루어지지만, 저속으로 달릴 때나 공회전 때에는 맞바람이 없어 자연냉각이 어렵기 때문에 냉각 팬을 돌려 냉각수 온도를 낮춘다.
윤활계통
엔진은 여러 개의 부품들이 맞물려 움직이는 기계다. 이 부품들이 맞물려 움직이면서 마찰이 생기고, 이 때문에 부품들이 닳거나 작동효율이 떨어진다. 부품 사이의 마찰을 줄여 부품의 마모와 작동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부품이 닿는 부분마다 윤활유를 공급해주는 구성요소들을 윤활계통이라고 한다.
윤활유
lubricant, lubricating oil
자동차에는 다양한 윤활유가 쓰이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엔진오일을 들 수 있다. 엔진오일은 부품의 마모를 줄이는 것이 가장 큰 기능이지만, 각 부품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부품들 사이의 틈을 메워 진동과 소음을 줄여준다. 또한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 사이의 밀폐를 도와 연소효율을 높이고, 엔진 안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도 있다.
엔진오일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끈적이는 정도인 점도(粘度)다. 점도가 너무 낮으면 부품 사이의 틈을 메우지 못하고 흘러내려 마모가 빨리 진행되고 진동과 소음이 커지며 연소효율도 떨어진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으면 오일이 부품 사이에 달라붙어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엔진오일의 점도는 등급체계로, 점도등급을 겨울용과 다른 계절용 기준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겨울용 오일의 등급은 0부터 25까지 5 단위로 높아지는 숫자 뒤에 W를 붙이고, 다른 계절용 오일의 등급은 20부터 50까지 10 단위로 높아지는 두 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대부분의 엔진 오일은 엔진의 온도에 관계없이 점도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만든 복합 점도 오일이다. 따라서 점도등급 표시는 SAE 5W-30 등으로 저온과 고온의 기준을 함께 표시한다. 이것은 저온에서는 SAE 5W 등급 오일처럼, 고온에서는 SAE 30 등급 오일처럼 작동한다는 뜻이다.
엔진 오일의 또 다른 분류기준으로는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 미국석유협회)의 서비스 분류가 있다. 이 분류는 자동차 엔진에 주로 쓰이는 엔진 오일의 성능을 기호로 표시한 것이다. 시대별 기준에 따라 휘발유 엔진용 오일은 S로 시작하는 두 개의 알파벳으로, 디젤 엔진용 오일은 C로 시작하는 두 자리 알파벳에 세부기준에 따라 숫자를 더해 표시하고 있다.
웨트 섬프, 드라이 섬프 wet sump, dry sump
윤활계통은 구조에 따라 웨트 섬프와 드라이 섬프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웨트 섬프 방식에서는 엔진 구석구석 돈 오일이 아래로 떨어져 엔진 블록 바닥에 있는 오일팬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고인 엔진오일을 오일 펌프로 끌어올려 다시 엔진으로 보내는 것이 웨트 섬프 방식. 이와 달리 드라이 섬프는 오일팬 없이 고성능 오일 펌프를 사용해 강제적으로 윤활시키는 방식이다. 레이싱카나 고성능차의 경우 횡가속 등의 힘이 걸릴 경우 오일이 한쪽으로 몰려 오일팬에 잘 모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윤활을 위해 회수용 펌프와 공급용 펌프를 사용해 강제로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드라이 섬프 방식이 사용된다.
오일 펌프•oil pump
엔진 아래쪽에 있는 오일 팬에 고여 있는 엔진오일을 끌어올려 각 부품들로 전달하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크랭크샤프트나 캠샤프트에 기어나 체인을 연결해 작동한다.
오일 필터•oil filter
엔진오일의 찌꺼기나 이물질을 제거해 부품이 상하는 것을 막는 여과장치. 내부에 바이패스 밸브가 달려 있어 필터가 막히면 여과되지 않은 엔진오일이 엔진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한다.
전기·점화계통
자동차에서 전기는 각종 램프를 켜고 파워윈도를 작동시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이는데, 엔진의 시동과 점화에도 필수적이다. 요즘 널리 쓰이고 있는 엔진제어 컴퓨터(ECU 또는 ECM)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도 전기계통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다. 점화계통은 휘발유 엔진에서 혼합기를 폭발시키도록 전기불꽃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퓨즈•fuse
합선이나 전기장치의 이상으로 전기회로에 지나치게 많은 전류가 흐르면 전선이나 전기장치가 타거나 고장 날 수 있다. 퓨즈는 과대전류가 흐르면 녹아 끊어지게 되어 있어 회로가 고장 나는 것을 막는다. 차에 따라 퓨즈의 갯수와 위치는 다르지만, 엔진룸의 가장자리와 대시보드 아래 또는 옆면의 안쪽에 나뉘어 있는 것이 많다.
점화 코일•ignition coil
휘발유 엔진의 연소실에서 혼합기가 폭발하려면 점화 플러그에 전기 불꽃을 발생시켜야 한다. 전기로 불꽃이 만들어지려면 고압의 전류가 필요한데, 전원인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류는 12V에 불과하다. 불꽃을 만들기 위해 자기유도작용과 상호유도작용을 이용해 배터리에서 나온 12V의 전류를 2만∼2만5,000V의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장치가 점화 코일이다.
하이텐션 케이블 high-tension cable
점화 코일에서 배전기로, 배전기에서 점화 플러그로 고압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선.
배전기•distributor
점화 코일에서 나온 고압의 전류를 실린더의 점화순서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에 달린 스파크로 배분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장치. 점화순서에 맞춰 회로를 끊고 잇기 위해 크랭크샤프트의 절반 속도로 회전하는 캠샤프트에 연결해 구동한다. 기계적인 접점방식의 배전기는 여러 가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최근에는 배전기 대신 크랭크샤프트에 달린 크랭크각 센서로 피스톤의 위치를 확인해 엔진제어 컴퓨터가 점화시기를 결정하고, 점화코일에서 직접 점화 플러그로 고압 전류를 흘려보내는 DLI(Distributor-less Ignition) 장치가 많이 쓰이고 있다.
점화 플러그•spark plug
연소실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장치.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간격을 두고 이 사이로 고압 전류를 흘려보내 불꽃을 만들어낸다. 크기와 함께 내열성을 나타내는 수치인 열가(heat value)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축전지•battery
흔히 배터리라고 하는 축전지는 자동차에 쓰이는 전기장치의 전원으로 쓰인다. 자동차용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황산과 납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하는 납 축전지로, 휘발유 엔진에는 12V, 대형 디젤 엔진에는 24V 축전지를 주로 쓴다.
발전기•alternator
엔진회전을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generator)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직류발전기를 뜻하는 것이다. 요즘의 자동차용 발전기는 얼터네이터라고 하는 교류발전기를 통해 발생된 교류가 정류기를 거쳐 직류로 바뀌는 구성이다. 발전기를 통해 만들어진 전기는 축전지에 충전되거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데 쓰인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차량 내부 청소 방법! (0) | 2012.07.26 |
---|---|
{ 상반기 미국 자동차 시장 결산및 7월 시장동향 } (0) | 2012.07.13 |
The history of AMG - Mercedes - Benz (0) | 2012.06.24 |
LEXUS RX 350 의 변신 (0) | 2012.06.24 |
혼다, ‘어스 드림’ 엔진 계획 발표 (2012`어코드,어큐라 신형모델) (0) | 201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