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2

7월 자동차 시장분석과 전망

안녕하세요 자동차 서우진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하반기 자동차 시장분석과 전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자동차 뿐만 아니라 사회 전분야가 가격 인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자동차관련을 말씀드리면 개스값과 우리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자동차 공급부족과 가격인상이 우리 삶의 패러다임이 바껴지는 현상속에 살고 있는거 같습니다 절대적인 공급부족과 생산업체의 이익우선이 발생하는 산업구조가 소비자의 지값을 힘들게 하는 것이죠 자동차 반도체 생산의 현실은 2024년까지 생산을 더 할수 없는 구조적 문제가 있고 자동차 생산업체는 그나마 적은 반도체수로 비싼 자동차 모델만을 우선 생산하는 철저한 자본주의 방식을 고수 하다보니 베이직차들을 구입할수 없고 그레이드가 더 높은 자동차를 구입해야 하는 현실..

카테고리 없음 2022.07.13

레몬법이란

안녕하세요 최근 이곳 캘리에서는 레몬법으로 차량을 교체또는 보상관련해서 꽤 문의가 많습니다 그럼 레몬법이란 무엇인가에대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레몬법의 역사 레몬법은 1975년 제정된 미국의 소비자 보호법입니다. 사실 은 약칭이고, 정식 명칭은 당시 본 법의 발의자인 상원 의원 워런 매그너슨 ( Warren G. Magnuson )과 하원 의원 존 모스 ( John E. Moss )의 이름을 따서 ( Magnuson-Moss Warranty Act )였습니다. 차량이나 전자 제품 등에 결함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돼 품질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제조사는 소비자에게 교환, 환불, 보상 등을 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그렇게 미국에서 연방법으로 제정된 후 1982년 코네티컷..

카테고리 없음 2022.06.16

미국 자동차 시장 동행과 전망

미국 자동차 가격 내맘대로 못산다!? 그간 여러매체에서 나온 기사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웃돈을 주지않으면 차를 구입하지 못하고 또 차를 받기 까지가 한달 정도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2020년에 비해 21년에비해 올해(22`) 가 최고조 입니다 이는 개솔린 가격 상승이 더 부채질 하고 자동차에 들어가는 칩의 생산이 올해는 더는 생산할수 없는 구조이다보니 자동차 브랜드 딜러업체는 가격상승으로 호재가 되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선택하고 가격흥정을 하는 미국시스템의 패러다임이 바이어 마켓(소비자)에서 셀러 마켓(판매자)으로 전환이 되는 2022년입니다. 이런일이 일어나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소비자 입장 에서 보면 한편으론 억울? 하기도 하지만 현실을 받아드려야 스트래스를 안받는건 알지만 그래도... 라..

자동차 이야기 2022.03.26

자동차 ECU (Electronic Control Unit) : 전자제어장치 란?

자동차에 ECU 라는게 있는데 어떤 작용을 하는지 포스팅을 해봅니다. ( 자동차 ECU ) 1. ECU란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자동차용 컴퓨터로 사람에 비유하면 뇌가 되는 것이며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하드디스크가 됩니다. ECU안에는 RAM 과 ROM이라는 IC가 있으며 - RAM(Random access memory) : 자동차가 운행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신호를 임시로 저장되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소멸됩니다. 그리고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이곳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는 일시에 없어져 버립니다. - ROM(Read only memory): 자동차가 움직이는데 필요한 제어용 데이터로써 공장에서 만들어 나오므로 임의로 지워지거나 변형되지 않습니다. 2. 동작 가정에..

자동차 이야기 2022.03.12

{ 전기차 구입의 장,단점 }

전기차의 인기가 테슬라의 노이즈 마켓팅에 의해 구입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물론 전기차의 구입 매력증 하나는 정부 보조금도 큰 몫을 하고 있습니다. 솔직하게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이 시장을 이끌고 있는 고비용 시장입니다 따라서 전기차 구입 보조금 과 캘리포니아 tax 보고시 혜택과 카풀 이용이라는 조건이 그만큼 구입에 결정적 조건입니다. 전기차 별 보조금링크걸어드립니다 여기에서 참고하세요 http://cleanvehiclerebate.org/eng 하지만 현재 캘리포니아에서는 이러한 전기차의 구입 확대로 인한 각종 혜택들이 주정부 예산에 어느 정도 부담이 되어서 2020년 기준 전기차 구입 보조금이 전체적으로 다운되었습니다. 주정부 에서는 차량가격$65,000 이내의 차까지만 보조금을 준다는 결정도..

자동차 이야기 2022.02.11

전기차 운행비용 개솔린차보다 더 든다

정부 및 자동차업체들이 친환경차 전환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전기차(EV) 운행비용이 개솔린엔진 차량보다 더 많이 들 수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돼 주목을 끌고 있다. 미시간주 이스트랜싱에 본사를 둔 경제컨설팅회사인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이 지난주 전기차와 개솔린차의 운행 비용을 6개월 이상 조사해 비교한 연구 보고서 ‘비교: EV와 내연기관 차량의 연료 공급 실제 비용’를 공개한 것. 보고서는 전기차 운행비용에는 전기료 이외에도 가정용 충전기 설치 비용, 상업용 충전비, 전기차 세금, 급속충전소를 찾아다니는 데 허비되는 거리 및 시간 비용 등 4가지 추가 비용이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가정용 120V 레벨1 충전기 설치비용은 평균 600달러지만 240V 레벨2 충전기 설치비는 1600달러에 달한다. 또..

자동차 이야기 2022.02.05

{차 안 이산화탄소와 졸음운전 }

그동안 바쁘다는 이유와 일이 많다는 핑계로 미뤄미뤄 오다 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이곳 캘리포니아는 여행 목적지까지의 운전시간이 꽤 길어 차 만 타면 다 숙면모드로 운전자가 괴롭습니다 그이유는 차안의 공기가 탑승자들의 날숨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2)가 주행 15분후면( 세단 기준) 보통 수치가 3000ppm 으로 치솟아 졸리기때문입니다 대기중의 이산화탄소(CO2)농도는 약 1.04%인 반면 날숨에 함유된 CO2는 4~5% 달하구요 들이마신 CO2보다 무려 100배나 높은농도다고 합니다 관련한 영상인데요 sbs에서 실험한 영상 입니다 너무 충격적입니다 참고해보세요 특히나 주행시간이 긴 미국에서의 운전은 딱히 이산화 탄소 배출이 아니어도 차 만 타면 숙면 모드이기 때문에 그러려니 했지만 졸음운전의 이유..

자동차 이야기 2022.01.06

캘리포니아 DMV 온라인 이용 질문과 답변(펌글)

DMV는 온라인 셀프서비스 옵션을 비롯해 DMV Now 키오스크 또는 DMV 비즈니스 파트너를 통해 여러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다른 방법으로 DMV를 "방문"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 질문들은 현장 사무소를 가지 않고도 DMV 서비스에 접근해 필수 업무들을 마칠 수 있는 가장 편리한 몇 가지 방법입니다. 질문 1. 가까운 시일 내에 일부 DMV 업무를 완료해야 하지만 직접 DMV 방문은 피하고 싶은데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요? 답변: 모든 고객과 캘리포니아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이 DMV의 최우선 과제입니다. 일부 선별된 서비스는 현장 사무소에서 완료되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DMV 업무는 온라인으로 끝낼 수 있습니다. DMV는 고객들이 적격 운전면허 및 차량 등록 갱신, 주소 변경,..

운전면허 관련 2021.12.23

LA 유학생 및 주재원 리스 조건 및구입 준비 서류(/L1/F1 리스 가능) 아우디 또는 복스웨건

##유학생리스가 가능한 복스웨건 모델 유학생 리스가 가능한 아우디 모델 입니다 일단주재원과 유학생 리스는 복스웨건과 아우디 두 종류의 브랜드만 가능합니다. 서류가 보통 리스보다 좀더 많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유학생 자동차 구입시에도 같은 서류 입니다) 1. F-1 Visa(리스 기간보다 잔여기간이 길어야됨 ) 2, 여 권 3. I-20 copy ( 리스기간보다 잔여기간이 더길어야 됨) 4. Cell Phone Bill copy /전기세,물세 BIii,렌트계약서 중 하나 ( P.O.R) 5. 3개월 Bank Statement copy- 현재 BALANCE 많을수록 좋구요 그렇지 않을경우 한국에서 매월 송금된 내역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6. 학교에서 담당하는 Supervisor N..

미국에서 한국으로 차량을 가져가실 수 있는 조건

미국에서 한국으로 차량을 가져가실 수 있는 조건 1.이사자 또는 준이사자의 조건 만족 [이사자 조건] · 우리나라 국민(재외영주권자를 제외한다)으로서 외국에서 주거를 설정하여 1년 이상 거주하다가 우리나라로 주거를 이전할 목적으로 귀국하는 자. · 다른 나라의 영주권을 소지한 우리나라 국민(이하 "재외영주권자라"함)으로서 영구 귀국하는 자 또는 취업 등의 사유로 우리나라에 주거를 설정하여 1년 이상 거주할 자 · 외국인(외국시민권 획득자 포함)으로서 우리나라에 주거를 설정하여 1년 이상 거주할 자. [준이사자 조건] · 우리나라 국민(재외영주권자를 제외한다)으로서 가족을 동반하고 외국에서 주거를 설정하여 6개월 이상 체류하다가 우리나라로 주거를 이전할 목적으로 귀국하는 자. · 외국인(외국시민권획득자 포..